※ 이 포스팅에 게재된 내용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유가증권 투자 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책임 하에 최종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본 블로그는 타인의 매수/매도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반갑습니다, 바뭉바 친구들. 제 마음이 급합니다. 바로 가겠습니다.
최근 BPA 가격 급등으로 인해 관련 밸류체인들이 상승하고 있었습니다.
BPA 가격 상승으로 제가 매수했던 종목은 국도화학입니다. 관련 포스팅은 아래 참조.
국도화학 상승엔 2가지 패턴이 있습니다.
1) BPA 가격 상승(에폭시 판가 추가 상승) → 스프레드 상승 → 국도화학 매수 (2011년, 2020년)
2) 유가 하락 → BPA 가격 하락(에폭시 판가 소폭 하락) → 스프레드 상승 → 국도화학 매수 (2015년)
그냥 스프레드만 추종하시면 됩니다.
그 와중에 5일 동안 삼양홀딩스라는 종목이 날아갑니다.
키움증권에서 발행한 리포트를 공유합니다.
이 밸류 체인을 먼저 알고 있었던 사람에겐 삼양홀딩스 주가가 답답했을 겁니다.
국도화학은 저렇게 날라가는데, BPA 생산해서 파는 놈들의 주가는 왜 안올라가느냐?
삼양이노켐의 지분의 97.3%는 삼양홀딩스가 갖고 있습니다. 삼양홀딩스 자회사입니다.
레포트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삼양이노켐 영업이익이 희망회로 바짝 돌려서 정말 2500억원대라면, 삼양홀딩스 현재 주가가 1조 1904억원이니 12MF PER 값이 5가 채 안되는 상황으로 초저평가입니다.
위를 보시게 되면 화학쪽 손익이 1065억 가량이며, 삼양이노켐은 레포트에 언급된 바와 같이 636억원, 약 60%의 이익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보수적으로 접근합니다. 얼추 방향만 맞으면 되니까요.
1) 2021년 삼양이노켐 사업부 제외한 나머지를 2020년의 손익과 같다고 보면 1882 - 636 = 1246억원 입니다.
2) 애널리스트 분석과 같이 금년 BPA 가격이 현재가를 유지한 채 풀가동 하게 되면 작년 대비 약 2천억원 이상 늘어납니다. 2000 + 636 = 2636억원입니다. 가격저항도 있을 것이고, 풀가동 여부도 확실치 않으므로 여기서 20%만 DC 합시다. 2636*0.8 = 2109억원입니다.
3) 올해 예상되는 삼양홀딩스 순이익은 1) + 2) = 3355억원입니다.
※ 4/21 기준 현재 시총 11904억원 → PER = 3.5
쌉니다. 매우 쌉니다. 4/15 기준으로는 PER가 2.4 였겠네요...
오늘도 사례 하나 적립합니다. 그리고 내일 비중 일부 매수 가야겠습니다. 자꾸 화학만 늘어나네...
'주식 공부(기업, 산업) > 화학, 정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도화학, 금호석유] 4월 에폭시 단가 올라갔다. (5) | 2021.05.02 |
---|---|
[국도화학][F/UP2] 1분기 실적발표 및 시사점 - 210425 (4) | 2021.04.25 |
[삼양홀딩스][F/UP] 안전마진 계산 - 210423 (0) | 2021.04.23 |
[국도화학][F/UP] 2015년 전고점 돌파 (3) | 2021.04.19 |
[국도화학] BPA 지속 상승 + 조선/건설 턴어라운드 = ? (2) | 2021.04.13 |
댓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