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기업, 산업)/바이오, 제약

[아미코젠] 사업보고서 1편 - 주요사업

by 믐바페 2021. 9. 2.
반응형

반갑습니다, 바뭉바입니다.

 

바이오의약품 배지 국산화 국책과제를 수행 및 특수효소를 생산하고 있는 아미코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바이오 소재 제조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 종속회사 현황

 

 - 아미코젠이 지배력을 갖춘 10개의 종속회사가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차후 간단히 훑어보자.

 

 

2. 주요사업

 

 1) 특수효소 부문

 

기존 특수효소들인 CX, SP, SC는 항생제 원료의약품 합성에 사용된다.

밀가루에 베이킹 파우더라고 생각하자.

특수효소는 지난 사업연도별 약 60억 정도 매출을 발생시켰고, 올해는 105억 정도 예상된다.

 

 

 2) 엔돌라이신 부문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엔돌라이신 생산이 있다. 

기존 엔돌라이신 제조 기술 "아틸라이신"을 독일 라이산도에서 갖고 있었으나, 생산력이 부족했다. 그 부분을 아미코젠이 채워줬다.(수율 향상, 저비용 다량생산)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150904142640106035 

 

아미코젠·라이산도, 주식교환으로 바인딩 강화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12098590i

 

"아미코젠, 엔돌라이신 생산으로 내년 영업이익 150억 추가"

"아미코젠, 엔돌라이신 생산으로 내년 영업이익 150억 추가", DS투자증권 분석 목표주가 5만원으로 높여

www.hankyung.com

 

엔돌라이신은 항생제 내성균(항생제 약발 안듣게 하는 것)을 조질 수 있는 효소다.

아미코젠은 이를 글로벌 CMO 보다 생산성이 우수하고, 엔돌라이신 거래 가격이 $3000~5000/g 인데, $1000/g 이하로 생산할 수 있단 말이다.

▶ 매출원가를 제외한 매출이익이 $2000~4000/g 된다.

(판관비까지 포함된 사항인지는 몰라서 그냥 매출이익으로 설명한다)

 

위 기사와 같이 보수적인 판매가로 가정했을 때, 엔돌라이신에서 2022년 영업이익은 150억원 발생된다. 23년에 대량생산 가능하게 되면 수율이 더 좋아지고, 회사가 화목해진다.

 

엔돌라이신 대량생산 추진사업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을까?

경남 진주시 생물산업전문 농공단지에 1~3공장이 있고, 도보 3분거리에 새로 짓는다.

진주 갈 일 있으면 슥 보고 와야겠다.

 

이번 공장은 기존 제1~3 공장에 이은 제 4공장이다. 

 

궁금한 부분

 - 4공장에서 대량 생산을 할텐데, 내년 계획 물량인 30kg 어디서 생산하지?

 - 4공장에서 엔돌라이신 최대 캐파는 얼마인가?

 - 생산 캐파 키팩터는 무엇인지(설비 or 인력?)

 

 

 3) 배지부문 - 배지 국산화 국책과제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33 

 

아미코젠 ‘바이오의약품 배지 국산화’ 국책과제 선정 - 히트뉴스

아미코젠은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배지 국산화 사업’을 위한 국책과제에 지원해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이번 과제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사용되는 맞춤형 세포배양 배지를 개발하고

www.hitnews.co.kr

http://www.amicogen.com/bbs/board.php?bo_table=media&wr_id=97&page=2 

 

언론보도 | 아미코젠

산업바이오 전문업체, 특수효소, 바이오신소재, 단백질정제레진 소개

www.amicogen.com

 

바이오의약품 필수 요소인 배지 대부분이 수입의 의존하고 있어 배지 국산화 국책 선정됐다는 말이다.

→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로 인해 소재 국산화에 성공한 소부장 기업들을 떠올리면 되겠다.

잠재 고객사는 삼바, 셀트리온이다. 고객님들 계시는 근처에 가서 생산도 하고 영업도 하겠다.

 

궁금한 부분

 -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존 1~3공장에서 사용하던 배지를 대체할 수 있는지?

 -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셀트리온 3공장 배양설비 규모가 약 30만 리터다.

   → 아미코젠 송도 공장에 지어지는 배지는 얼마 정도의 배양액을 커버할 수 있는지?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994 

 

삼성바이오·셀트리온, 생산능력 더 늘리는 이유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미래

[시사저널e=차여경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이 공격적으로 생산 인프라 확장에 나선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모두 올해 초에 밝혔던 4공장과 3공장 착공에 나선다. 만약 두

www.sisajournal-e.com

 

 

오늘은 자야해서 여기까지 씁니다.

 

한 편에 모든 내용을 다 담으려니 그간 부담이 컸는데, 앞으로는 공부된 것 정리한만큼만 부담없이 쓰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바뭉바였습니다.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