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기업, 산업)/바이오, 제약

17. 티앤엘 게섯거라, 원바이오젠 - 개론

by 믐바페 2023. 1. 25.
반응형

마지막이다. 이것까지만 끝내고 토너먼트 시작이다.


1. 공시훑기
- 2019년 코넥스 상장, 2021년 코스닥 스팩합병 이전상장
- 21년 4월 타법인 주식 20억원 취득(제이앤코스, 화장품 제조/유통)


- 22년 5월 자기주식 취득(30억원)


2. 투자설명서 및 분기보고서
- 경쟁심화 : 국내 창상피복재 멘리케헬스케어코리아, 스미스앤드네퓨, 제네웰, 티앤엘 등 다수 기업 진출


- 주요 매출처는 일동제약으로 약 55%, 상위 3개사가 90% 차지. 매출처 다각화 노력 필요


- 신규사업으로 기능성화장품, 유착방지제, 전자의료기기 등 추진(2022년 3분기 기준, 화장품이 약 16% 비중으로 올라옴)


- 세계 창상피복재 시장은 약 9.7% 연평균 성장률 전망


- 경쟁사 현황 및 소개

 

(가) 스미스앤네퓨(Smith&Nephew)

스미스앤네퓨(Smith&Nephew)는 1856년 영국 Hull이란 도시의 작은 약국을 개설한 토마스 제임스 스미스의 가족기업으로 1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896년 그를 이어 그의 조카 호레이쇼 넬슨 스미스가 사업의 경영을 운영해왔습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Smith-Nephew는 각종 의료 기기, 개인 케어 제품 및 진보된 wound care 관리 제품 등을 통하여 전 세계에 걸쳐 사업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의료 복합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18년 2월 SMITH & NEPHEW는 유럽에 Single Use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PICO7 신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이 신제품은 병원 입원 환자뿐만 아니라 통원 치료하는 환자들에게도 제공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인기가예상됩니다.

 

2017년 7월 SMITH & NEPHEW는 Hull 대학교와 함께 창상피복 증진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16년 2월 SMITH & NEPHEW는 Blue Belt Technologies를 인수하여 로봇 활용 정형외과 수술 관련 시장을 리드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멘리케헬스케어(Molnlycke)

  

멘리케헬스케어(Molnlycke)는 mepilex, mepilex border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더타입 제품에 흡수부직 패드 층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 콜로플라스트(Coloplast)

콜로플라스트(Coloplast)는 1957년 설립된 덴마크 회사로, 2017년 기준 10,420명의 임직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oloplast는 의료 장비 회사로 창상피복재, 비뇨기, 인공항문 관련 기술개발, 제조,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창상피복재 분야에서는 폼드레싱, 알지네이트 드레싱, 하이콜로이드 드레싱, 하이드로겔, 고성능 흡수제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2018년 5월부터 Coloplast는 3D fit을 통한 Biataion실리콘을 런칭하였으며, 새로운 창상피복재 제품은 Coloplast의 전체 제품에 걸쳐 적용이 확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또한, 2016년 9월, Coloplast는 Biataion 실리콘기반의 8개의 새로운 창상피복재를 도입하였으며, 새로운 창상피복재는 동사 성장에 매우 중요한 측면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 콘바텍(Convatec)

  

의료장비 및 기술 회사인 Convatec은 1978년에 설립, 8개의 국가 내 11개의 제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7년 기준 직원 수는 7,399명입니다. 피부 및 상처관리를 위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화상, 발 궤양, 당뇨병 성 궤양, 개방성 및 폐쇄성 외과창상 및 피부 찢김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지난 30여 년간 Convatec은 장루 환자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Convatec은 장루 관리, 상처 관리, 피부 관리 분야에서의 독보적인 인지도를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도 강력한 경쟁력을 가진 제품을 생산하였습니다. 

  

2015년 5월, AQUACEL Foam dressings의 포트폴리오 확장을 통하여 상처 드레싱 제품 시장내 경쟁 우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16년 9월, 수술 부위 감염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출시된 AQUACEL Ag SURGICAL SP 드레싱 제품을 통해 외과용 드레싱 포트폴리오를 확장하였습니다.

  

(마) 제네웰

  

주식회사 제네웰은 2000년 7월 1일에 설립되어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관련 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010년 12월 24일자로 주식회사 동성바이오폴과 합병한 후 주식회사 동성바이오레인에서 주식회사 제네웰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국내에서 최초로 ”메디폼“이라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을 상업화 한 회사이며, 2007년 1월 18일에 한미메디케어(주)와 체결한 장기공급계약에 따라 동사가 생산한 유착방지제를 한미메디케어 주식회사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는 2014년 3월 18일에 Mundipharma Korea Limited 및 Mundipharma Medical Company와 장기공급계약(라이센스 및 국내외 공급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동사가 생산한 메디폼류 창상피복재를 국내 및 해외 특정 지역에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 티앤엘


티앤엘은 대웅제약과 중외제약을 중심으로 납품을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과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제품은 정형외과용 캐스트와 케미칼 제품군입니다.

  

(사) 3M HEALTHCARE

 

3M Company의 자회사인 3M healthcare는 1902년에 설립하여 미국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2017년 기준 직원 수는 91,536명입니다. 3M healthcare의 주요 경영분야는 생물공학, 식품안전, 의료제품 및 안전, 개인위생제품, 약물전달 시스템, 건강 정보 시스템 및 구강 케어 제품이 있습니다.

  

상처 치료 제품의 경우, 3M healthcare는 압축 시스템, 외과용 테이프, 상처 마감재, 접착제 드레싱, 하이드로 콜로이드 드레싱, 폼 제품, 피부클렌저 및 비 접착 패드를 제공합니다.

  

2015년 3월 의료제품 및 장비 제조업체인 lvera 의료회사를 인수하였습니다. 이번 인수는 상처 치료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풍부하게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같은 해 7월, 3M healthcare는 Nexcare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민감한 피부 환자를 위한 새로운 제품 라인을 출시하였습니다.

 

 



3. 생각
- 브랜드파워가 제한적임. 만약 흥행을 하게 된다면 그 이유가 무엇일까. 브랜드일까, 성능일까?
  난 브랜드가 더 우세하다고 판단되며, 가격협상력이 상대적으로 강하지 않다고 봄.
- 어떤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을까? 
- 신사옥 준공 뉴스 참조. 캐파가 늘어나기는 한걸까?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21512184668972 

 

원바이오젠, 신사옥·공장동 준공..500억원대 케파 확보 - 머니투데이

원바이오젠(대표 김원일)이 약 90억원을 투자해 신사옥을 신축하고 공장동을 증축했다. 대대적 자동화 설비 도입으로 연간 500억원 이상의 CAPA(생산능력) 확보가 가능...

news.mt.co.kr

 - 차라리 브랜드파워를 씨게 업고 있는 티앤엘이 낫지 않을까?

반응형

댓글0